미래에는
크리스마스 트리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죽음

아름다운 수형을 자랑해 외국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각광받는 ‘구상나무’. 영어 이름 ‘Korean Fir’, 학명 ‘Abies koreana’에서 알 수 있듯이 구상나무의 고향은 한국이다.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야생의 구상나무가 건강한 숲을 이루던 한라산과 지리산, 덕유산의 고산지대 풍경이 달라졌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나무들은 집단으로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 초록의 물결이던 산은 이제 허옇게 말라죽은 나무의 무덤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2010년 구상나무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했다.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기후위기로 가장 먼저 멸종에 이르는 종이 될까?

바늘잎나무의
죽음

위기는 구상나무로 시작해 우리나라 고산지대에 사는 상록침엽수, 바늘잎나무로 번지고 있다.
설악산과 오대산의 분비나무, 계방산과 지리산의 가문비나무처럼 해발 1,000m이상에 서식하는 고산침엽수의 죽음이 관찰된다.
우리에게 익숙한 소나무와 잣나무부터 백두대간을 따라 전나무와 주목의 집단 고사도 눈에 띈다.

기후위기의 당사자

눈이 내리지 않는 따뜻한 겨울. 건조한 봄의 기온 상승과 강풍. 여름과 가을의 잦은 태풍. 겨울에 내린 눈으로 봄까지 수분을 유지하는 침엽수가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약해진 나무는 봄철 강풍과 이어지는 태풍에 부러지고 뿌리가 뽑힌다. 기후위기로 이상 기후와 극단적 기상 현상이 잦아질 것으로 예견된다. 오랜 시간 건강한 숲을 유지해 온 나무의 죽음은 연쇄적인 피해를 발생시킨다. 나무와 공생하는 숲 생태계는 적응할 시간도 없이 황폐화되고 회복은 더 어려워진다. 나무가 죽은 자리, 고정되지 못한 흙이 쓸려내려가며 산사태 위험이 커진다.

바늘잎나무의 마지막이 될지 모르는 지금을 목격하고 기록하는 것 기후위기로 인한 우리 모두의 멸종을 막는 시작이 될지 모른다.

소나무과 전나무속

구상나무

Abies koreana
분포
#지리산 #한라산 # 덕유산 #가야산
특징
한국 특산종,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 멸종위기종(EN)
구분
잎끝이 둥글고 갈라져 있다.
뒷면은 흰색 가루로 덮여 있다.

건강한 구상나무 잎

소나무과 전나무속

분비나무

Abies nephrolepis
분포
#소백산 #태백산 # 오대산 #설악산
특징
구상나무와 형태적으로 매우 흡사해 구분이 어려움
구분
잎끝이 둥글고 갈라져 있다.
뒷면은 흰색 가루로 덮여있다.

분비나무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분포
#지리산 #덕유산 #계방산 #설악산
특징
백두대간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서식(해발 1,500~2,300m)
구분
잎끝이 뾰족하고 아래쪽으로 조금 휘어져 있다. 잎 뒷면에 흰색 기공선이 보인다. 40m까지 자라며 구과 열매가 아래쪽을 향해 달린다.

가문비나무

소나무과 전나무속

전나무

Abies holophylla
분포
백두대간을 비롯한 전국의 산지 사면 등에 서식
특징
젓나무로도 불리며 구상나무, 분비나무와 흡사함. 남한의 침엽수 중에서 가장 크고 곧게 자람.
구분
짧고 뾰족해 찔리면 아픈 1개의 잎이 독립적으로 난다. 잎 뒷면은 흰색 기공선이 보인다.

전나무

소나무과 소나무속

소나무

Pinus densiflora
분포
산 정상부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자생
특징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나무. 그중 금강소나무는 줄기가 곧고 결이 단단해 문화재 보수복원용으로 사용.
구분
기다란 바늘잎 2개가 한 묶음으로 잎집에 싸여 있다.

소나무

소나무과 소나무속

잣나무

Pinus koraiensis
분포
해발 1,000m 이상 전국의 산지
특징
국내에 널리 식재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동북아시아 일부 지역에 제한되어 분포해 보호가 필요함.
구분
20~30m까지 자란다. 기다란 바늘잎 5개가 한 묶음으로 잎집에 싸여 있다. 솔방울보다 길쭉하고 실편이 뒤로 젖혀진 모양의 열매에 잣이 들어있다.

잣나무

주목과 주목속

주목

Taxus cuspidata
분포
#지리산 #한라산 #덕유산 #소백산 #오대산 #설악산
특징
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해발고도 700m에서 서식, 수명이 길어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 불리기도 함.
구분
잎끝이 뾰족하지만 만져도 아프지 않을 정도이다. 뒷면은 연초록색의 기공선이 보인다. 가지는 옆으로 퍼져 원뿔 모양의 수형을 이룬다. 앵두 같은 핵과 열매가 8~9월 붉게 익는다.

주목

보고 느끼기

한라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1/30

관찰하기의 중요성

자연은 기후위기를 훨씬 더 민감하게 받아들인다. 숲은 이미 온몸으로 경고를 보내고 있다. 바늘잎나무의 죽음으로 시작된 숲의 변화를 직시해야 한다. 나무와 함께 살아가는 숲 생태계에 미칠 영향은 관찰과 기록 없이는 알 수 없다. 이 변화는 결국 숲에 기대어 사는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나무의 위기는 곧 우리의 위기이다. 기후위기를 늦추고, 숲의 위기를 넘어설 대안을 찾기 위해서 모두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의 기록은 지구에서 사라지는 종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나무의 떼죽음으로 시작되는 산사태 가능성을 알리는 근거가 된다. 우리 숲을 가꾸는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다. 바늘잎나무를의 경고를 통해 대안을 찾는다.

나무의 죽음을 막을 수 없다면, 그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숲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 시작은 바로 우리의 관심이다. 우리의 관찰과 기록이 쌓여 변화를 만든다.
1/3

나무를
관찰하는 방법

높이에 따라
  • 큰키나무(교목) : 대게 1개의 줄기가 곧고 굵고 높이 자라는 나무
  • 버금큰키나무(아교목) : 떨기나무보다 크고 큰키나무보다 작은 나무
  • 떨기나무(관목) : 여러개의 줄기로 자라며 대략 5m 정도 높이까지 자라는 나무
  • 덩굴나무(만목) : 칡, 머루처럼 줄기가 덩굴로 자라는 나무
잎의 형태에 따라
  • 바늘잎나무(침엽수) : 바늘같이 가늘고 뾰족하며 단단한 잎을 가진다.
  • 넓은잎나무(활엽수) : 평평하고 넓은 잎이 달린다.
잎의 성질에 따라
  • 늘푸른나무(상록수) : 계절에 상관없이 1년 내내 잎이 푸른 나무다. 바늘잎나무 대부분이 늘푸른나무이고, 동백나무 등은늘푸른 넓은잎나무이다.
  • 갈잎나무(낙엽수) : 봄철 성장한 잎이 1년 이내에 말라 죽고 떨어지고, 다시 새 잎이 난다. 대부분 넓은잎나무지만 낙엽송과 같은 바늘잎나무도 일부 포함된다.

이 나무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1/6

나무를
기록하는 방법

관찰 내용을 기록한다
  • 조사 일자
  • 조사 위치 (휴대전화 GPS 기능을 활용해 위치와 고도를 기록)
  • 관찰한 종
  • 사진, 동영상 기록(휴대전화 카메라 등을 이용)
  • 개체 수 기록
  • 고사 형태 기록(초기, 중기, 말기)
  • 특이사항 기록
고사 유형
고사 초기
  • 한 나무에서 노르스름한 잎과 초록색 잎이 같이 관찰되는가
  • 잎 뒷면 흰색이 희미해져 잎색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가
고사 중기
  • 줄기안쪽, 아랫단부터 잎이 떨어져 가지가 앙상한가
  • 잎의 절반이 적갈색으로 물들었는가
고사 말기
  • 잎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모든 가지에서 잎이 떨어진 상태인가
  • 가지가 생기없이 메말라 쉽게 부러지는가 뿌리가 들려있거나 뽑혀 있는가

고사초기 잎 뒷면 기공선 감소

1/11

관찰하기
원칙

  • 관찰의 제1원칙은 안전이다. 정해진 탐방로 안에서 자세히 살펴보고 기록한다. 무리한 산행을 하지 않는다.
    음주 산행은 절대 금물이다. 또한 무심결에 나무가지를 꺾거나 풀꽃을 짓밟지 않도록 나의 안전뿐 아니라 내가 관찰하는 자연에도 해를 끼치지 않게 노력한다.
  • 내가 다녀간 흔적을 남기지 않으며, 자연의 것은 그대로 둔다. 쓰레기는 물론이고, 과일껍질도 반드시 되가져온다.
    작은 새나 곤충은 껍질에 배어있는 아주 적은 농약을 먹고도 목숨을 잃는다.
    나뭇가지에 표식기를 달거나 ‘00 다녀감’ 같은 낙서를 하지 않는다.
    도토리, 밤, 잣 등 무단채집은 동물들의 먹이를 빼앗고 자연을 훼손하는 행위다.
  • 소리와 냄새에 민감한 야생동물에게 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배낭에 매단 컵이 부딪히는 쇳소리, 휴대전화, 라디오 등 무심코 낸 작은 소음에도 동물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또 냄새에 민감한 동물을 위해 진한 향수나 화장은 지양한다. 산에서 만큼은 자연의 소리와 향기를 느껴보자.
  • 라이터 등 불씨는 절대 가져가지 않는다. 산불은 식물 뿐 아니라 산에 깃들어 사는 모든 생물을 죽인다.
  • 산의 주인은 나무와 풀, 곤충과 야생동물, 흙과 돌, 흐르는 물이다.
    우리는 손님임을 명심하며 대자연을 만나자. 있는 그대로 아름다운 자연의 경관, 바람, 나무 냄새, 새의 지저귐을 오감을 열어 온몸으로 느끼자.

네이처링 로고네이처링 어플 다운받기

녹색연합 로고기록하는 방법 보기

녹색연합 SNS 방문하기

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그램카카오 플러스

트리를 위해
할 수 있는 작은일을
알려드려요.

녹색 연합의 레터를 통해 정보를 받을 수 있어요

녹색연합 로고
02879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19길 15
대표전화 : 02-747-8500 회원전용 : 02-745-5001~2 팩스 : 02-766-4180
대표메일 : greenkorea@greenkorea.org
ⓒ 2024 GREENKOREA. ALL Rights Reserved.